동물병원

강아지 파보바이러스 증상부터 예방까지, 알아야 할 모든 것

거여운 멍냥이 2025. 3. 31. 14:39
강아지 파보바이러스 증상부터 예방까지, 알아야 할 모든 것

 

안녕하세요! 

강아지 키우는 집사님들, 요즘 다들 잘 지내시죠?

 

오늘은 강아지 키우면서 꼭 알아둬야 할

'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특히 아기 강아지 키우는 분들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봐주세요!


파보바이러스란?

파보바이러스는 강아지들 사이에서

정말 무섭고 위험한 전염병이에요.

주로 소장과 심장을 공격하는데

특히 아기 강아지들한테 더 치명적일 수 있죠.

 

이 바이러스가 무서운 게 뭐냐면

환경에서도 엄청 오래 살아남아요.

그러니까 강아지가 산책할 때나

집 안에서도 감염될 수 있다는 거죠!

심지어 바이러스가 묻은 신발이나

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답니다. 


감염 경로

파보바이러스는 보통 강아지가

뭔가를 입으로 물거나 핥을 때 전염돼요.

특히 강아지의 배설물(특히 설사) 이 가장 큰 감염원이래요.

배설물, 장난감, 접촉으로 인한 전염

산책하다가 감염된 강아지의 배설물을 밟은 신발을

집안으로 가져올 때!

감염된 강아지의 침이나 배설물이 묻은 장난감을

다른 강아지가 물 때!

감염된 강아지와 직접 접촉할 때!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 강아지는

더 쉽게 감염되니까 진짜 조심해야 해요!


증상 (이런 증상이 보이면 위험해요!)

파보바이러스는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아래 증상들이 보인다면 바로 병원으로 데려가세요! 

주요 증상

심한 설사와 구토 - 특히 피가 섞여 나온다면 진짜 위험 신호예요.

식욕 부진 -  강아지가 밥을 전혀 안 먹으려고 해요.

심한 탈수 - 물도 잘 못 마시고, 피부가 축 늘어진 느낌이 들 거예요.

무기력함 - 평소보다 힘이 없고 축 처져 있어요.

발열 또는 저체온 - 갑자기 열이 나거나 몸이 차가워질 수도 있어요.

 

특히 아기 강아지라면 몇 시간 안에

상태가 확 나빠질 수 있으니까 빨리 병원으로 가는 게 좋아요!


예방 방법

다행히도 파보바이러스는 예방 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예방 접종은 절대 빼먹으면 안 돼요! 

 예방 접종 일정

첫 번째 접종 (생후 6~8주)
처음으로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포함한 혼합 백신을 맞아야해요.

 

두 번째 접종 (생후 9~12주)
첫 번째 접종 후 3~4주 간격으로 추가 접종을 받게 돼요.

 

세 번째 접종 (생후 12~16주)
또 한 번 3~4주 후에 접종을 받게 되는데

이때까지 총 3번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좋아요.

성견이 되면 (1년마다 추가 접종)

이제 강아지가 성견이 되면 1년에 한 번

부스터샷(추가 접종)을 맞아야 해요.

 

이건 예방 효과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거예요.

예방 수칙

다른 강아지와 접촉할 때 조심하기

(특히 예방 접종 전에는 절대 금지!)

산책 후엔 발바닥, 배를 깨끗이 씻어주기

강아지가 만지는 물건이나 바닥도

자주 소독하기 (특히 차아염소산나트륨 사용!)

 

예방 접종만 제대로 해도 파보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어요! 


감염됐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만약 강아지가 파보바이러스에 감염됐다면

조기에 발견해서 병원 치료를 받는 게 가장 중요해요.

치료 방법

수액 치료 (탈수 방지)

강아지가 탈수 증상이 보이면

병원에서 수액을 정맥 주사로 맞아요.

 

이걸로 수분을 보충하고 탈수를 막을 수 있어요.

 

항구토제 (구토 멈추기)


강아지가 구토를 계속하면

병원에서 항구토제를 주어서 구토를 멈추게 해요.

 

강아지가 음식을 먹을 수 있어야 회복이 빨라지니까요.

 

영양 공급 (식사 안 할 때)

강아지가 음식을 먹지 못하면

병원에서 주사로 영양을 공급해요.

 

이렇게 영양을 보충해서 몸의 회복을 돕습니다.

 

특히 아기 강아지의 경우 치료하지 않으면 위험하니까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빨리 병원으로 가세요!


파보바이러스는 정말 무섭지만

예방 접종만 잘 해도 충분히 막을 수 있어요!

 

특히 아기 강아지일수록 더 조심해야 하니까

예방 접종 일정도 잘 챙기고

강아지의 상태도 항상 주의 깊게 살펴봐 주세요.

 

혹시라도 강아지가 평소랑 다르게 행동하거나

증상이 보인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으로 데려가세요! 

오늘도 우리 강아지들 모두 건강하게 잘 지내길 바라요!

다음에도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올게요~

안녕!

Editor - 서윤